출처 : 핵심만 콕 쿠버네티스
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.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실제 어플리케이션을 올려 실행해보려면 AWS,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고 볼 수 있다.
k3s를 사용해서 클러스터를 구축하려면 인스턴스가 두 개 필요한데, AWS, Azure 같은 서비스는 처음 사용자에게만 한 개의 인스턴스를 무료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k3s 클러스터 구축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. AWS, Azure + GCP를 사용하거나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무료 인스턴스 두 개를 사용하면 k3s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는데, 방화벽과 네트워크 설정을 꼼꼼하게 진행해야 클러스터 구축이 가능해진다.
하지만 학습 + 테스트용으로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면 VM을 사용하는 방법 역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. VM의 NAT 설정을 통해서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간단하게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은 VM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. 그리고 책의 저자가 운영하는 블로그에서 상세하게 그 방법이 설명되어 있어서 클라우드 인스턴스에서 진행하는 방화벽 설정보다 훨씬 쉽게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.
그래서 쿠버네티스에 조금 더 익숙해지는 것이 먼저라 생각하여 조금 더 쉬운 방식의 설치를 선택하게 됐다.
- 핵심만 콕 쿠버네티스 깃허브 저장소 : https://github.com/bjpublic/core_kubernetes/blob/master/README.md
- VM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축 : https://coffeewhale.com/kubernetes/cluster/virtualbox/2020/08/31/k8s-virtualbox/
'쿠버네티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 네트워킹(Service 리소스) (0) | 2022.07.13 |
---|---|
Pod 살펴보기 (0) | 2022.06.30 |
쿠버네티스 기본 명령어 (0) | 2022.06.26 |
쿠버네티스 소개 (0) | 2022.06.07 |
도커 기초 (0) | 2022.05.31 |